도보나 자가용을 주로 이용하는 학생 및 직장인을 제외하면 대중교통은 매일 이용해야하는 필수 이동수단이다. 다른 물가들처럼 대중교통비도 지속적으로 오르고 무조건 이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매 월 고정적으로 꾸준히 나가는 교통비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으면 가계에 작게나마 보탬이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거의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매 월 교통비로 꾸준하게 50,000원 ~ 80,000원 정도 지출을 하는 편이다. 알뜰교통카드를 알기 전까진 나라사랑카드로 발급 받았었던 S20 체크카드를 삼성페이를 이용해서 교통카드로 사용했었는데, 기억으로는 한 달 기준 2,000원 정도 캐시백을 해줬었던 것 같다.
삼성페이가 워낙 편하기 때문에 알뜰교통카드를 알기 전까진 정말 잘 사용하고 있었지만,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면서 매달 10,000원 이상의 교통비 할인을 받고 있는 지금은 조금이라도 일찍 알지 못했던 것이 아쉽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주 만족스럽게 이용중이다.
알뜰교통카드
출근은 편하게 ! 교통비는 가볍게!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로 더 알뜰하게 !
www.alcard.kr
어떤 경로로 알뜰교통카드를 알게 됐는지 정확히 기억이 나질 않는데, 누군가에겐 정말 필요하고 도움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처음의 나처럼 몰라서 사용을 못하는 분들이 많을거 같다. 따라서, 이번글에서는 알뜰교통카드에 대해서 소개하고 앞으로 신청 방법과 카드별 비교정리까지 해보려 한다.
알뜰교통카드가 뭐야?
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할인해주는 카드이다.
쉽게 생각해서,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 역이 아무리 가깝다고 하더라도 집이나 사무실, 학교 문을 나가자마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까지의 이동 거리와 이용하고 나서 목적지 까지의 이동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캐시백을 해주는 형태다.
보통 다른 많은 카드들도 대중교통 할인을 해주는 것들이 많이 있지만, 최대 10% 정도이고 이마저도 할인을 적용해주는 월 이용금액 최대 한도가 30,000원 ~ 50,000원 정도로 할인율을 적용한 할인금액은 5,000원 정도가 최대치임을 생각해보면 교통카드로는 이런 혜택을 주는 카드가 유일무이하다고 볼 수 있다.
어디서든 아무나 다 사용 가능한건가?
알뜰교통카드 회원가입 가능지역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세종, 울산, 제주, 충북(청주, 옥천, 제천), 충남, 전북(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정읍 - 10월 1일부터 시행), 전남(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광양 - 8월 1일부터 시행, 나주 - 예정), 경북(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경산 - 예정, 칠곡 - 9월 1일부터 시행), 경남(창원, 거제, 김해, 밀양, 산청, 진주, 창녕, 양산, 통영, 고성, 사천, 함안), 강원(춘천, 강릉/원주 - 6월 1일부터 시행)
*2022-08-01 기준
최초 19년도에 시범사업 후 정식 출시됐을 때는 '광역알뜰교통카드'라 불리며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는데, 현재는 전국 대부분으로 대상을 확대 하는 중이며 2022년 8월 1일 기준 이용가능 지역은 위와 같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을 받기 위해선 4가지 조건이 있으며,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면 적립 받을 수 없다.
1. 월 15회 이상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 한 번 찍는걸 1회 사용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왕복 기준 8일 이상 사용
2.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정상이며, 서비스 대상 지역일 것
- 사용은 전국에서 가능(동해선 일부 적립이 제한될 수 있음)
3. 만 19세 이상
- 2022년 4월부터 충청남도 거주 어린이 및 청소년(만 6세 ~ 18세)의 도내/시내 농어촌버스 무료이용 시작
4. 출발/도착시 알뜰교통카드 전용 어플로 알려줄 것
- 어플 사용 안 할 시, 미적립
어떻게 사용하는거야?
1. 먼저 카드 신청을 한다.
- 카드사는 우리, 신한, 하나 총 3군데로 체크/신용 중에 선택
- 티머니페이, 모바일캐시비, 원패스 선불형 카드도 있음
2. 알뜰교통카드 앱 다운로드
- 본인 명의 휴대폰이 없는 경우, 회원가입이 제한될 수 있다.
ios용 - App Store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는 회원이 대중교통 이용 시 보행‧자전거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을 이용해 최초 출발한 지점부터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및 대중교통 하차지점부터 최종 도착한 지점까지 이동
apps.apple.com
안드로이드용 - Goole Play
알뜰교통카드 - Google Play 앱
대중교통 이용 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 지급하는 알뜰교통카드 앱
play.google.com
3. 알뜰교통카드 앱 회원가입
- 카드 수령 후 가능
4. 앱 상의 출발, 도착 버튼을 눌러 마일리지 적립
- 출발지에서 '출발' 버튼을 클릭
-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이용
- 도착지에서 '도착' 버튼을 클릭
- 아래 사진과 같이 1x1 위젯 사용 가능 (추천!!)
사용방법은 이제 알았는데 적립이 어떻게 되는거라고?
출발 할 때 앱 상의 '출발' 버튼을 클릭하면,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고 하차지점에서 도착지에 도착하여 '도착' 버튼을 클릭하면 이 두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방식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중간 환승 과정의 이동거리는 포함되지 않으며 앱을 통하여 확인을 하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7 or IOS 11 버전 이상의 스마트폰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그래서 얼마를 주는거야?
회당 마일리지 적립액은 최대 이동거리 800m 기준으로 250원 ~ 450원이며, 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경우 상향 마일리지를 적용 받을 수 있다. 이동거리 800m 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되며, 월 15회 이상 이용해야 하고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시에는 두배를 지급해준다.
월상한 마일리지 적립 횟수는 44회로 보통 기준 월의 주말 일수 8일을 제외한 22일 x 2만큼 지급해주는 것 같다. 이렇게 적립된 마일리지는 1일부터 말일까지 적립되어 그 다음달 초에 등록한 계좌로 환급된다.
나의 경우, 보통 시내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기 때문에 1회 교통비가 2천원 미만이라 최대 이동거리 800m 기준 1회에 250원 적립을 받는다. 따라서 한 달 기준으로 보통 11,000원 ~ 12,000원을 환급받고, 이에 더하여 사용하고 있는 우리 체크카드의 전월실적(20만원)을 채우면 추가로 3,000원을 받아 15,000원을 받을 수 있다.
플라스틱 카드를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며, 이동시마다 어플을 눌러줘야 한다는 것이 번거롭게 느껴질 수도 있고 깜빡할 때도 있지만 조금만 신경쓰면 여느 카드보다 큰 할인을 받을 수 있으니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버스보다 지하철을 주로 이용하여 지하철 정기권을 사용하는 분이 아니라면 알뜰교통카드를 정말 강력 추천한다!!
다음 글에서는 신청 방법과 이용 가능 카드 들에 정리하겠다.
'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고려은단 비타민C 1000 온라인이 가장 싼게 아니었어? (ft. 저렴하게 구입 하는 법) (0) | 2022.08.11 |
---|---|
[TIP] 교통비를 최대 30% 할인 받는다는 알뜰교통카드 신청해볼까? (가입 방법, 회원 가입) (0) | 2022.08.10 |
[Tip] 포토샵 없이 초스피드로 누끼 따는 법 (사진 배경 제거하기) (0) | 2022.07.29 |
생활 폐기물 처리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2.07.28 |
[한시무료] 테슬라 전 차종 정비 매뉴얼 구독 (0) | 2022.07.06 |